• tel. 02.725.1995
  • fax. 02.725.1997

찾고 계신 기술을 검색하세요

mockup

다중 모달리티 영상 생성 기법을 이용한 의료영상진단시스템

출원번호
10-2018-0091200
출원일자
2018-08-06
등록번호
-
등록일자
-
사업화 단계
연구실환경에서의 Working Model 개발
기술요약
본 기술은 인공신경망으로 다중 모달리티 의료 영상을 생성하여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의료영상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영상 획득장치에서 얻어진 의료영상을 인공신경망에 입력하여 같은 부위에 대한 다른 모달리티(Modality)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달리티 영상을 입력영상과 결합하여 다중 모달리티 영상을 구성함으로서 대상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모달리티 영상 생성 기법을 이용한 의료영상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임
keyword
인공신경망, 모달리티 의료영상, 의료영상진단시스템

기술 상세

기술특징 및 효과(기술 및 효과)

  • 실제 영상획득장치에서 얻어진 의료영상을 인공신경망에 입력하여 같은 부위에 대한 다른 모달리티(Modality)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달리티 영상을 입력영상과 결합하여 다중 모달리티(multi-modality) 영상을 구성함으로서 대상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함


국내·외 기술동향

  • 국외에서는 미국 Mayo clinic, Havard 의과대학, UCLA 등을 중심으로 MRI-PET,MRI-SPECT 등 다중 모달리티 뇌 영상 정합 기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Analyze , SPM,AIR 등 뇌 영상 정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음
  • MRI영상 기반 해마 등 뇌 국소 영역의 해부학적 형상 분석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중이나, 이러한 연구들은 뇌의 해부학적 정보에만 의존함으로써 국소적 뇌 형태와 기능 및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분석은 제한적임
  • 최근 영상 모달리티가 고화질화 되고 분자 수준의 대사 판별이 가능한 영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화, 세분화됨에 따라 최신 모달리티 영상에 대한 기존영상 처리기법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 중임
  • 국내에서는 공학 분야에서 MRI, CT 등 해부학적 영상 기반 3차원 가시화를 통한 형태적 이상 부위 판별을 주로 연구하고, 의학/의공학 분야에서 Analyze 등 기존 상용 S/W를 이용한 정상인-환자군별 형태적, 기능적 영상 분석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중이며, MRI-PET , MRI-SPECT 등 다양한 모달리티 영상 정합을 기반으로 한 뇌질한 조기 판별 기법 연구는 드문 상황임
  • 또한 최근 MRIPET 동시 취득장비가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나,각각 상이한 획득 원리 및 특징을 갖는 다양한 모달리티영상을 H/W 기술로만 정합하는것은 한계가 있다고 보며, 향후 S/WH/W의 상호 보완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임
  • 본 기술에 의하면, 실제 영상획득장치에서 얻어진 의료영상을 인공신경망에 입력하여 같은 부위에 대한 다른 모달리티(Modality)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달리티 영상을 입력영상과 결합하여 다중 모달리티(multi-modality) 영상을 구성함으로서 대상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함


    국내·외 시장동향 및 전망

    • 기술에 의하면, 단일 모달리티 기반 방법보다 높은 진단 정확도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는 다중 모달리티 기반의 영상들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진단 방법을 이용함
    • 영상 획득장치의 부재나 높은 비용 등으로 인해 다중 모달리티 영상들을 직접 얻는 것이 어려운 경우 다중 모달리티 영상 생성용 인공신경망을 통해 필요한 모달리티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향상된 진단 성능을 얻을 수 있음
    • 특히 MRI 영상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치매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및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의 진단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질환들은 치료에 걸리는 시간이나 비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령화 사회적 진입에 큰 문제로 인식됨
    • 따라서 본 기술을 이용한 뇌질환의 조기 발견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의미를 가짐

    연구자 소개

    mockup

    AI 권위자

    김성찬교수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능형 CCTV, 로봇, 자율주행, 이미지/동영상 분석, 생성 등은 컴퓨터공학에서 최근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응용 분야입니다. 정지영상/동영상에서 물체 인식 및 상황 인식 기술을 연구하는 컴퓨터 비전은 이런 응용 분야들의 핵심 기술입니다.

    자세히 보기

    연구자의 사업화유망기술